맨위로가기

라사로 카르데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사로 카르데나스는 1895년 멕시코 미초아칸 주에서 태어나 1913년 멕시코 혁명에 참여했다. 그는 1934년 멕시코 대통령에 당선되어 토지 개혁, 석유 산업 국유화, 교육 개혁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국을 지원하고 레프 트로츠키의 망명을 허용했다. 1940년 대통령 퇴임 후에도 국방장관을 역임하고 국제 정치 문제에 관여했으며, 1970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정책은 멕시코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멕시코 역사상 중요한 대통령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도혁명당 정치인 - 엔리케 페냐 니에토
    엔리케 페냐 니에토는 멕시코 혁명기관당 소속 정치인으로 멕시코 주 주지사를 거쳐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 의혹과 여러 논란에 직면했다.
  • 제도혁명당 정치인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는 1988년부터 1994년까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하며 북미 자유 무역 협정 체결과 경제 개방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 위기와 논란으로 인해 멕시코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멕시코 - 엔리케 페냐 니에토
    엔리케 페냐 니에토는 멕시코 혁명기관당 소속 정치인으로 멕시코 주 주지사를 거쳐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 의혹과 여러 논란에 직면했다.
  • 멕시코 - 루이스 에체베리아
    루이스 에체베리아는 1922년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나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포퓰리즘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 위기와 정치적 폭력으로 논란을 겪었고, 2022년에 사망했다.
  • 멕시코의 무신론자 - 디에고 리베라
    디에고 리베라는 멕시코의 벽화가이자 화가로서, 유럽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입체파 운동에 참여했으며 멕시코 벽화 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민족적 전통과 사회주의적 이념을 결합한 벽화를 다수 제작했고, 프리다 칼로와의 결혼과 미국에서의 활동도 그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멕시코의 무신론자 - 이그나시오 라미레스
    이그나시오 라미레스는 19세기 멕시코의 급진적인 자유주의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으로서, 신문 기고를 통해 자유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여러 직책을 역임하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했다.
라사로 카르데나스 - [인물]에 관한 문서
라사로 카르데나스
공식 대통령 초상화
이름라사로 카르데나스 델 리오
로마자 표기Lázaro Cárdenas del Río
출생일1895년 5월 21일
출생지히킬판, 미초아칸, 멕시코
사망일1970년 10월 19일
사망지멕시코시티, 멕시코
안장 장소혁명 기념비, 멕시코시티, 멕시코
국적멕시코
배우자아말리아 솔로르사노(1932년 결혼)
자녀콰우테모크 카르데나스
직업정치인, 군인
정당제도혁명당
소속멕시코 육군
복무 기간1913년–1928년
계급장군
참전멕시코 혁명
대통령
직위멕시코 대통령
재임 기간1934년 12월 1일 – 1940년 11월 30일
이전 대통령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다음 대통령마누엘 아빌라 카마초
국방부 장관
직위국방부 장관
대통령마누엘 아빌라 카마초
재임 시작1942년 9월 1일
재임 종료1945년 8월 31일
이전 장관헤수스 아구스틴 카스트로
다음 장관프란시스코 루이스 우르키소
미초아칸 주지사
직위미초아칸 주지사
재임 시작1928년
재임 종료1932년
이전 주지사루이스 멘데스
다음 주지사다마소 카르데나스
제도혁명당 대표
직위제도혁명당 대표
재임 시작1930년 10월 16일
재임 종료1931년 8월 27일
이전 대표에밀리오 포르테스 길
다음 대표마누엘 페레스 트레비뇨

2. 어린 시절

카르데나스 어린 시절, 1900년경


라사로 카르데나스 델 리오(Lázaro Cárdenas del Ríoes)는 1895년 5월 21일, 미초아칸주 히킬판의 중산층 가정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7][135] 그의 가족은 푸레페차 혈통이었으며,[8] 아버지는 당구장을 운영하며 장사로 돈을 벌었다.[7]

아버지의 지원으로 당시 농촌에서 받을 수 있는 좋은 교육을 받았으나,[135] 11세에 학교를 그만두었다.[7] 아버지가 사망한 후 16세부터 어머니와 일곱 동생을 부양해야 했다.[7] 그는 세금 징수원, 인쇄소 조수(식자공), 간수 등으로 일했다.[7][135]

학교를 일찍 그만두었지만, 평생 독학으로 특히 역사 관련 서적을 꾸준히 읽었다.[7] 인쇄소에서 일하면서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역사 서적을 접할 기회가 있었고, 멕시코 혁명을 위한 선전물 발행에 참여하면서 혁명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135]

3. 멕시코 혁명기

라사로 카르데나스 장군


미초아칸주 출신의 라사로 카르데나스는 1913년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프란시스코 마데로 대통령을 축출하고 암살하자 18세의 나이로 멕시코 혁명에 참여했다.[7] 1913년 7월 3일, 그는 기예르모 가르시아 아라곤 장군이 지휘하는 에밀리아노 사파타의 사파티스타 부대에 중위 계급으로 합류하여 대위이자 재무관으로 활동했다.[7][135] 그러나 얼마 후 아라곤의 부대가 푸레레로 공격전에서 참패하고 부대가 궤주하자 고향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였다.

1914년 봄, 알바로 오브레곤이 이끄는 헌법주의 군대가 할리스코로 남하하자 카르데나스는 휘하 병력을 이끌고 합류했다.[7] 그는 오브레곤 휘하에서 복무하며 오브레곤 군단이 과달라하라를 점령하고 멕시코 시로 진군할 무렵 주요 야전 장교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아과스칼리엔테스 군사회의 이후 오브레곤과 베누스티아노 카란사가 대립하자, 카르데나스는 잠시 오브레곤을 떠나 사파타, 판초 비야와 함께 군사회의파를 지지했다. 하지만 그의 옛 상관이었던 가르시아 아라곤 장군이 사파타에 의해 반역죄로 처형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파타와의 관계는 멀어졌다. 1915년 1월, 군사회의파 정부 수반 에울랄리오 구티에레스 장군이 카란사, 비야, 사파타 모두를 비난하며 이탈하자 군사회의파는 내부 분열로 사실상 와해되었다.

이후 카르데나스는 중령으로 진급하여 소노라 지역의 페데리코 모랄레스 장군 휘하에 배속되었다. 당시 모랄레스 장군은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었고, 부대 내 분위기도 혼란스러웠다. 1915년 3월, 카르데나스는 아니바카치에서 자신이 지휘하던 제22연대의 군사회의를 소집하여 장교 및 사관들과 논의한 끝에, 당시 가장 열세로 평가받던 오브레곤 군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3월 27일, 그는 약 250명의 부대원과 함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 장군에게 합류했다.[7] 한 달 뒤 벌어진 셀라야 전투에서 카르데나스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용기를 보여주었고, 이는 엄격했던 카예스로부터도 칭찬을 받을 정도였다. 이 시기부터 카르데나스는 오브레곤, 카예스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는 카예스 휘하에서 야키 인디언과 미초아칸 및 할리스코의 사파티스타들에 대한 군사 작전을 수행하며 장군으로 진급했다.[7]

헌법주의 군대(Constitutional Army) 시절의 카르데나스, 1913년경


1920년, 카예스가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정부에 반기를 드는 아과 프리에타 계획을 발표하자, 당시 베라크루스 우아스테카 지역 사령관이었던 카르데나스는 즉시 계획에 동참하고 반란에 가담했다. 오브레곤이 집권한 후, 카르데나스는 25세의 나이로 멕시코 역사상 최연소 준장으로 진급했다.[7] 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의 짧은 대통령직 동안에는 고향인 미초아칸주의 임시 주지사로 임명되기도 했다. 데 라 우에르타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진압에 나섰으나, 쿠이타틀란에서 라파엘 부엘나 장군이 이끄는 반란군에게 패배하고 가까스로 탈출하는 실패를 겪기도 했다.

반란 진압 후 카르데나스는 탐피코 지역 사령관으로 부임하여 석유 산업과 관련된 경험을 쌓았다. 카예스 대통령은 그를 멕시코만 연안의 석유 생산 지역인 우아스테카의 군사 작전 책임자로 임명했다. 카르데나스는 이곳에서 외국 석유 회사들이 지역을 "정복된 영토"처럼 취급하고 자원을 채굴하며 세금을 회피하는 현실을 직접 목격했다. 이는 훗날 그의 석유 산업 국유화 정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시기 그는 강력한 반교권주의적 사회주의자였던 프란시스코 J. 무히카 장군과 가까워지며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9] 무히카는 카르데나스에게 "사회주의는 멕시코의 갈등을 해결하는 데 적합한 이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9]

1928년에는 고향인 미초아칸주의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크리스테로 전쟁과 이듬해 호세 곤살로 에스코바르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중요한 공을 세웠다. 같은 해 12월, 카예스가 창당한 민족혁명당(PNR, 이후 제도혁명당(PRI)으로 개편)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중앙 정치 무대에서의 입지를 다졌다.

4. 정치 경력

카르데나스는 1928년 그의 고향인 미초아칸 주의 주지사로 임명되면서 본격적인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 미초아칸 주는 크리스테로 전쟁으로 인해 주 정부와 가톨릭 교회 간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그의 정치적 스승이었던 무히카(Múgicaes)의 영향을 받아, 카르데나스는 노동자와 농민을 조직화하는 데 힘썼다. 그는 교사와 농민들을 중심으로 "정치적 돌격대"를 만들고, "연합, 토지, 노동"을 내세운 Confederación Revolucionaria Michoacana del Trabajoes를 결성하여 주 내 가장 강력한 노동자·농민 단체로 키워냈다.[10]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대통령이 되었을 때 대중 조직을 동원하고 통제하는 정치 운영 방식의 기초가 되었다.

4. 1. 미초아칸 주지사 (1928-1932)

주지사로 재임하는 동안 카르데나스는 당시 카예스 대통령이 해당 정책에 대해 회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 개혁을 우선시했다. 그는 대농장을 몰수하여 공동 소유이자 국가가 관리하는 토지인 ''에히도''를 만들었다. 에히도의 구성원인 에히다타리오스(ejidatarioses)는 개별 토지를 경작할 수는 있었지만, 이를 사유 재산으로 소유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토지 개혁 프로그램은 대지주(hacendadoses), 성직자, 그리고 일부 소작농들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카르데나스는 미초아칸 주에서 토지 개혁을 꾸준히 추진했다.[11]

주지사로 재임한 4년 동안 카르데나스는 주 차원에서 소규모 토지 재분배를 시작했으며, 농민과 노동자 조직의 성장을 장려했다. 또한 연방 정부가 소홀히 하던 교육 분야를 개선하는 데 힘썼다. 그는 교사들에게 급여를 제때 지급하고,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상황을 살폈으며, 100개의 새로운 농촌 학교를 열었다. 이러한 현장 중심의 통치 방식 덕분에 카르데나스는 측근의 조언에만 의존하지 않고, 일반 대중으로부터 직접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중요한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12]

4. 2. 대통령 선거 (1934)

미초아칸주 주지사, 멕시코 혁명당(PNR) 총재, 내무장관, 육군장관 등을 역임한 카르데나스는 193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당시 막후 실세로 군림하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 전 대통령은 카르데나스를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둘 수 있는 꼭두각시로 보고 그를 여당인 멕시코 혁명당(PNR)의 대통령 후보로 추대했다.

카르데나스는 강력한 여당 후보로서 당선 가능성이 매우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안주하지 않고 멕시코 역사상 전례 없는 대규모 전국 유세를 벌였다. 이 과정을 통해 그는 멕시코 전역을 순회하며 다양한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소통하면서 자신만의 정치적 지지 기반을 구축해 나갔다. 선거 결과, 카르데나스는 압도적인 득표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4. 3. 대통령 재임 (1934-1940)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 전 대통령의 지지를 받아 혁명국민당(PNR) 후보로 지명된 라사로 카르데나스는 1934년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16] 당시 많은 사람들은 카르데나스가 실권자였던 칼레스의 영향력 아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7], 그는 취임 후 곧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카르데나스는 자신을 대통령으로 만든 칼레스와 그의 측근 세력을 정치적으로 축출하고, 1917년 혁명 헌법의 정신에 따라 토지 개혁, 노동자 권익 보호, 주요 산업 국유화 등 광범위한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특히 1938년 단행된 석유 산업 국유화는 미국 등 외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나, 멕시코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남았다. 또한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 정부를 지원하고 레프 트로츠키망명을 받아들이는 등 국제 사회에서도 진보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카르데나스의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된 이러한 급진적인 개혁 정책들은 멕시코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의 통치 스타일과 정책 방향은 이후 "카르데니스모" (Cardenismo) 로 불리며 멕시코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 3. 1. 개요

1929년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가 창당한 혁명국민당(Partido Nacional Revolucionario)의 로고. 이 로고는 멕시코 국기의 색상과 배열을 사용하며, 독수리 상징 대신 당의 약어를 사용한다.


멕시코 중부 미초아칸주 출신으로, 젊은 시절 인쇄공으로 일하다가 1913년 18세의 나이에 멕시코 혁명에 참여하여 알바로 오브레곤 휘하의 헌법 혁명군 북서 사단에서 기병대 지휘관으로 복무했다.[7] 혁명 이후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1928년 고향인 미초아칸 주지사를 지냈고, 이후 집권당인 멕시코 혁명당(Partido Nacional Revolucionario, PNR) 총재, 내무장관, 육군장관 등 요직을 거쳤다. 당시 PNR은 카르데나스 대통령 재임 중 멕시코 혁명당(Partido de la Revolución Mexicana, PRM)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다시 제도혁명당(Partido Revolucionario Institucional, PRI)으로 개명되어 오랫동안 멕시코 정치의 중심이 되었다.

1934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당시 멕시코 정치의 막후 실력자였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 전 대통령은 카르데나스를 PNR의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칼레스는 자신이 이전 대통령들을 통제했던 것처럼 카르데나스 역시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7], 이는 그의 오판이었다. 카르데나스는 강력한 여당 후보로서 당선이 거의 확실했음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전역을 도는 25000km에 달하는 대대적인 선거 유세를 펼쳤다. 이 유세를 통해 그는 이전까지 대통령 후보를 직접 만날 기회가 없었던 외진 지역의 유권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자신만의 정치적 기반을 다졌고, 1917년 혁명 헌법의 정신을 계승하는 사회 개혁 의지를 분명히 했다.[20] 예상대로 카르데나스는 98%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1]

1934년 12월 1일 대통령에 취임한 카르데나스는 1940년까지 재임하며 멕시코 사회의 급진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이는 흔히 "카르데니스모" (Cardenismo) 라고 불린다. 그는 자신을 대통령으로 내세웠던 칼레스와 그의 측근 세력을 정치적으로 축출하고, 부패한 기존 노동조합 간부들을 몰아내며 독자적인 권력 기반을 확립했다. 이후 1917년 혁명 헌법에 명시되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던 개혁 조치들을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겼다. 특히 대규모 토지 개혁을 단행하여 약 2000만ha의 토지를 77만 명의 농민에게 분배하며 에히도(공동 농경지) 시스템을 강화했다.[17][19] 또한, 1937년에는 철도 산업을 국유화했고, 1938년에는 외국 자본이 장악하고 있던 석유 산업의 국유화를 선언하며 국영 석유 회사인 페멕스(PEMEX)를 설립했다. 석유 국유화 조치는 미국 등 서구 열강의 격렬한 반발과 경제적 압박을 초래했으나, 멕시코 국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외교적으로는 진보적인 노선을 견지했다. 스페인 내전(1936-1939) 당시에는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파시스트 반란에 맞서 싸우는 공화 정부를 끝까지 지원했으며, 소총 등 무기를 지원하고 내전 패배 후 약 1만 명에 달하는 스페인 공화파 망명자들을 받아들였다. 이들 망명자들은 이후 멕시코의 학문과 예술,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37년에는 소련에서 추방된 혁명가 레프 트로츠키망명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대통령 퇴임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며 1945년까지 국방장관을 역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에는 미국과의 군사 협력 및 동맹 강화에 기여했다.[132][133] 1955년에는 평화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스탈린 평화상(이후 레닌 평화상으로 개칭)을 수상했다.

4. 3. 2. 주요 정책

멕시코 대통령 라사로 카르데나스


카르데나스 정부는 멕시코 혁명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가 제시했던 6개년 계획에 기반했지만, 카르데나스는 이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실행하며 칼레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주요 정책은 토지 개혁, 노동자 권익 향상, 석유 산업 국유화, 교육 개혁, 원주민 정책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했다.

=== 토지 개혁 ===



카르데나스 정부는 멕시코 혁명의 핵심 과제였던 토지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했다.[28] 멕시코 헌법 제27조에 근거하여 약 180000km2에 달하는 대규모 상업적 아시엔다의 토지를 몰수하여 농민들에게 재분배했다.[29] 특히 멕시코 북부의 면화 재배 지역인 라구나(La Laguna)와 헤네켄 생산지였던 유카탄에서 대규모 수용이 이루어졌으며[30], 바하칼리포르니아, 소노라, 미초아칸, 치아파스 등 다른 지역에서도 토지 개혁이 시행되었다.[28]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공동 소유 형태인 에히도 시스템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확대되었다.[28] 1937년에는 헌법 제27조의 입안자 중 한 명인 안드레스 몰리나 엔리케스를 초청하여 유카탄의 토지 개혁을 자문받기도 했다.[31][32]

농민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조직화하기 위해 1938년 전국농민연맹(CNC)을 설립했다.[33] 카르데나스는 조직된 농민들이 기존 지주 세력에 맞서는 정치적 힘이 되고, 새로운 국가 운영에 중요한 지지 기반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34] CNC의 성격에 대해서는 농민의 자율적인 이익 단체라는 시각과 국가의 통제하에 있는 후원-수혜 관계라는 시각이 공존한다.[34][35][36] 정부는 농민 조직화를 주도하며 급진적인 노동조합이나 공산당의 개입을 경계했다.[37]

또한, 약 6만 명 규모의 농촌 민병대를 창설하여 군대의 통제하에 두었다. 이들은 토지 개혁의 실행을 보장하고, 지역 카우딜로에 맞서 정치적 안정을 확보하며, 토지 소유주로부터 수혜 농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38] 토지 개혁은 농민들의 적극적인 요구와 동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단순히 위로부터 내려온 시혜가 아니었다.[39] 그러나 농민 조직은 여전히 국가의 통제 아래 있었고 도시 노동자들과 독자적인 연대를 형성하기는 어려웠다.[40]

=== 노동 정책 ===

멕시코 노동자 연맹(CTM)의 지도자 비센테 롬바르도 톨레다노


1917년 헌법 제123조는 최저임금, 8시간 노동제, 파업권, 노동조합 결성권 등 노동자의 권리를 명시하며 국가가 노동자의 편에 있음을 선언했다. 카르데나스는 이러한 헌법 정신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그는 기존의 부패한 멕시코 지역 노동자 연맹(CROM)과 그 지도자 루이스 나폴레옹 모로네스를 견제하고, 사회주의 성향의 비센테 롬바르도 톨레다노가 이끄는 멕시코 노동자 연맹(Confederación de Trabajadores de México, CTM)을 지원했다.[41] CTM은 카르데나스가 칼레스를 축출하는 데 협력했으며, 카르데나스 정부의 중요한 정치적 파트너가 되었다.[42]

1938년에는 멕시코 국철(Ferrocarriles Nacionales de México)을 국유화하고 "노동자 관리" 체제를 도입했다. 또한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했다.

  • 사탕수수 농장 및 제당 공장 노동자의 주당 근무 시간을 48시간으로 제한하는 단체 협약을 전국적으로 의무화했다.[43]
  • 연방 당국에 8시간 노동제 준수를 감독하고 위반을 방지하도록 지시했다.[43]
  • 광산의 규폐증과 면화 산업의 폐섬유증에 대한 신고 및 보상 조치를 마련했다.[43]
  • 산업 위생 규정(1936년 6월 6일)을 통해 공장 내 분진 배기 장치, 호흡기, 의료 서비스 설치를 의무화하고, 노동자 자녀를 위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설립 근거를 마련했다.[43][44]
  • 보일러 검사 규정(1936년 8월 30일)을 도입했다.[44]
  • 기업이 직원에게 적절한 주거를 제공하도록 규정한 헌법 제123조 시행을 약속했다.[44]
  • 연방 공무원의 근무 시간 및 고용 조건을 규정하는 법률(1938년 12월 5일 공포)을 제정했다.[45]
  • 해상 검사 서비스 규정(1939년 3월 21일)을 공포했다.[45]


=== 석유 산업 국유화 ===

PEMEX 로고


카르데나스 정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는 1938년 3월 18일에 단행된 석유 산업 국유화였다. 이는 외국계 석유 회사들과 멕시코 석유 노동자들 간의 오랜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카르데나스는 외국 기업과의 기존 합의가 헌법 제27조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보았다.[79] 1936년, 1만 8천 명의 석유 노동자 노조는 단체 교섭 협약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정부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외국 기업들은 노동자들의 요구와 정부의 조정안을 거부했다. 멕시코 대법원마저 1938년 3월 1일 기업들의 항소를 기각하자, 카르데나스는 국유화를 결정했다.[79]

국유화 선언은 멕시코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으며, 몰수된 자산에 대한 보상금 마련을 위한 전국적인 모금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외국 기업들과 서방 정부, 특히 영국의 격렬한 반발을 샀고, 영국은 멕시코와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경제 제재를 가했다.[80] 국유화 초기에는 기술 부족과 외국 기업들의 비협조로 생산에 차질을 빚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미국의 기술 지원 등으로 점차 회복되었다.[81]

국유화를 통해 설립된 국영 석유 회사 페멕스(PEMEX, Petróleos Mexicanos)는 이후 다른 자원 부국들이 자국의 천연자원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모델이 되었다.[80] 페멕스는 멕시코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 교육 개혁 ===

카르데나스 정부는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초기에는 칼레스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 교육과 성교육 도입을 추진하며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줄이려 했으나, 이는 일부 지역에서 크리스테로 전쟁의 재발과 같은 반발을 낳았다. 카르데나스는 정치적 안정을 위해 급진적인 반교권주의 정책에서 한발 물러서며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26]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예산을 대폭 증액하여 특히 농촌 교육에 많은 투자를 했다.[12] 1936년에는 석유 산업 국유화에 필요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표로 멕시코시티에 국립폴리테크닉연구소(Instituto Politécnico Nacional, IPN)를 설립했다. 또한 1939년에는 기술 및 직업 훈련을 강조하는 기본 교육법을 공포했다.[45]

=== 원주민 정책 ===

카르데나스는 멕시코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원주민들의 권익 향상과 사회 통합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936년, 원주민 문제를 전담하는 내각급 부처인 원주민 사무부(''Departamento de Asuntos Indígenas'')를 설립했다.[46] 이 부처는 인류학자 모이세스 사엔스와 같은 인물들의 영향을 받아 원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조건 개선, 문화 보존, 권리 보호를 목표로 삼았다.[47][48]

원주민 사무부는 원주민 공동체 보호, 토지 문제 해결 지원, 경제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국 원주민 의회 개최 등을 통해 원주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에 반영하고자 노력했다.[52][53][54] 또한 원주민 언어로 된 자료를 출판하고 녹음했으며,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진료소도 설립했다.[55] 1940년에는 미초아칸주 파츠쿠아로에서 제1회 미주 원주민 의회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연대를 모색하기도 했다.[56]

=== 여성 참정권 ===

카르데나스는 여성 운동가들의 요구와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멕시코 여성의 투표권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1917년 헌법의 "멕시코인(mexicanos)"이라는 표현이 남성과 여성 모두를 포함하도록 개정하는 안을 추진했다. 이 개정안은 1938년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고 각 주로 보내져 비준까지 받았으나, 최종적으로 관보(''Diario oficial'')에 게재되지 않아 시행되지 못했다.[59][60]

여기에는 보수적인 가톨릭 여성들이 사제의 영향을 받아 투표할 경우 혁명의 성과가 후퇴할 수 있다는 정치권 내의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61] 특히 스페인 내전 당시 스페인 여성들이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지지했던 사례가 이러한 우려를 증폭시켰다.[62] 결국 카르데나스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여성 참정권은 그의 임기 내에 실현되지 못했고, 1953년에 이르러서야 멕시코 여성들은 투표권을 얻게 되었다.

=== 마약 정책 개혁 ===

임기 후반인 1940년, 카르데나스 정부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마약 정책 개혁을 시도했다.[63] 보건부 마약 책임자였던 레오폴도 살라사르 비니에그라의 제안을 받아들여 '연방 마약 중독 규정'을 제정했다.[64][66] 이 규정은 소량의 마약 소지 및 거래를 비범죄화하고, 기존의 마약 사범들을 석방하며, 마약 중독을 범죄가 아닌 공중 보건 문제로 접근했다.[63][67]

정부는 마약 중독자 치료를 위한 클리닉을 설립하여 의사의 처방 하에 합법적으로 약물을 제공하고 관리하려 했다.[64][66] 이는 불법 시장을 위축시키고 중독자들에게 안전한 치료 환경을 제공하려는 목적이었다.[67] 그러나 이 정책은 시행된 지 약 5개월 만인 1940년 7월에 폐지되었다.[66][68] 공식적인 폐지 이유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약물 공급 부족과 자원 부족이었지만[66][67], 실제로는 마약 정책에 강경한 입장이었던 미국의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압력이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66]

=== 기타 정책 ===

  • 교회와의 관계 개선: 취임 직후 칼레스 법을 폐지하고[24], 멕시코 대주교 루이스 마리아 마르티네스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며 혁명 이후 지속된 국가와 가톨릭 교회 간의 갈등을 완화하려 노력했다. 이는 카르데나스 본인이 무신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정치적 행보였다.[26][27]
  • 개발 금융 기관 설립: 1934년, 멕시코의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국영 개발은행인 나시오날 피난시에라(Nacional Financiera)를 설립했다. 이 기관은 이후 멕시코의 기적 시기에 국가 주도 산업화의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89]
  •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도로와 학교 건설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국가 발전을 위한 기초를 다졌다.[12]
  • 사형제 폐지: 멕시코에서 사형 제도를 공식적으로 폐지하여 인권 증진에 기여했다.

4. 3. 3. 정치 개혁



카르데나스는 대통령 취임 후, 이전까지 실권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로부터 벗어나 독자적인 권력 기반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칼레스가 만든 기존의 집권당인 혁명국민당(Partido Nacional Revolucionario, PNR)을 해체하고 새로운 정치 조직을 만드는 개혁을 추진했다.

카르데나스는 1934년 PNR 후보로 당선되었지만, 칼레스는 여전히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7] 그러나 카르데나스는 산업 노동자와 농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동원하여 자신의 입지를 강화했고, 1935년에는 결국 칼레스를 망명으로 몰아넣었다.[71] 이후 카르데나스는 내각에서 칼레스 충성파들을 제거하고 의회에서도 다수파를 확보하며 권력을 공고히 했다.[70][71][72]

멕시코 혁명당(PRM) 로고 (1938)


권력 기반을 다진 카르데나스는 1938년 3월 30일, 기존의 PNR을 공식적으로 해산하고 멕시코 혁명당(PRM)을 창당했다.[69] 이는 단순히 당명을 바꾼 것이 아니라, 당의 구조와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조치였다. PRM은 산업 노동자, 농민, 중산층(주로 정부 관료 및 공무원), 그리고 군대라는 네 개의 공식적인 부문(sector)으로 조직되었다. 이는 각 사회 계층 및 이익 집단을 당의 공식 구조 안으로 편입시킨 것으로, 일종의 신분제적 성격을 가졌다.[73] 각 부문은 대표적인 대중 조직을 가졌는데, 노동 부문은 멕시코 노동자 연맹(Confederación de Trabajadores de México, CTM), 농민 부문은 전국 농민 연맹(Confederación Nacional Campesina, CNC), 중산층 부문은 1938년 설립된 국가 공무원 노동조합 연맹(Federación de Sindicatos de Trabajadores al Servicio del Estado, FSTSE)이 대표했다.[74] 이러한 부문별 조직 구조는 다양한 사회 세력의 요구를 당으로 수렴하고 국가의 지원을 제공하는 통로가 되었지만, 동시에 이들 조직을 국가 시스템에 종속시켜 자율성을 제한하고 대통령이 각 부문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혁명 장군 출신이었던 카르데나스는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을 통제하고 군의 민간 통제를 확립하는 것을 중요 과제로 삼았다. 멕시코 혁명 이후에도 군대는 여전히 정치에 개입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고, 이전 대통령들도 군의 규모를 축소하고 전문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23] 카르데나스는 군대를 PRM의 네 부문 중 하나로 공식 편입시키는 독특한 방식을 선택했다. 이는 군대를 정치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당의 공식적인 틀 안으로 끌어들여 제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려는 의도였다.[76] 일부에서는 군대를 당 조직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카르데나스는 "우리는 군대를 정치에 끌어들이지 않았습니다. 군대는 이미 거기에 있었습니다. 사실상 상황을 지배해 왔고, 우리는 그들의 목소리를 네 부문 중 하나로 줄이는 것이 좋았습니다."라고 설명하며 이 조치의 현실적인 필요성을 강조했다.[76] 또한 그는 군부에 대한 균형추로서 농민들을 무장시키고,[23] 하급 장교들의 주택, 연금, 자녀 교육 지원 등을 통해 처우를 개선함으로써 군 내부의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 전통적인 군 지휘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23]

사투르니노 세디요. 카르데나스에 반기를 든 마지막 주요 군사 지도자였다.


카르데나스의 이러한 군부 통제 정책은 1938년, 산 루이스 포토시 주의 지역 군벌이자 전직 혁명 장군이었던 사투르니노 세디요가 일으킨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면서 그 효과를 증명했다.[92] 세디요는 한때 카르데나스를 지지했으나, 중앙 집권 강화와 자치권 약화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91][92] 연방 정부는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반란을 신속하게 진압했고, 1939년 세디요는 사살되었다.[92] 세디요의 반란은 멕시코에서 발생한 마지막 주요 군사 반란으로 기록되었으며, 그의 제거는 카르데나스 정부 하에서 중앙 권력이 강화되고 지역 군벌의 시대가 끝났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92] 군부를 당의 한 부문으로 편입시킨 조치는 결과적으로 군의 정치적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훗날 PRM이 제도혁명당(PRI)으로 개편될 때 군부 부문은 폐지되어 '대중' 부문에 흡수되었다.[78]

카르데나스의 정치 개혁, 특히 PRM 창설과 신분제적 조직 구조는 1930년대 유럽에서 유행했던 파시즘과 형식적인 유사성이 있다는 지적도 받았다. 그러나 카르데나스 자신은 파시즘에 명확히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그의 개혁은 광범위한 대중 동원을 통해 국가를 재편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개혁 정책과 좌파적 성향은 보수 세력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37년에는 가톨릭 기반의 보수적 대중 운동인 국가 시너키스트 연합(Unión Nacional Sinarquista, UNS)이 결성되었고, 1939년에는 친기업적이고 보수적인 가톨릭 인사들을 중심으로 국민행동당(PAN)이 창당되어 이후 멕시코 정치에서 주요 야당으로 성장하게 된다.[93]

4. 3. 4. 외교 정책

멕시코시티 에스파냐 공원(Parque España)의 라사로 카르데나스(Lázaro Cárdenas) 기념비. 스페인과의 관계를 상징한다.


카르데나스는 스페인 내전 당시 파시즘 세력인 프란시스코 프랑코에 맞서 스페인 공화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는 공화국에 대한 무기 판매 및 구매 보증, 국제 연맹에서의 외교적 지지, 전쟁 고아들에 대한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82] 비록 공화국을 구하지는 못했지만, 내전 패배 후 약 2만에서 4만 명에 달하는 스페인 난민들에게 멕시코는 피난처를 제공했다.[83] 이들 난민 중에는 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멕시코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예를 들어, 1939년 멕시코 정부의 지원으로 설립된 ''카사 데 에스파냐''는 스페인 지식인들의 안식처가 되었고, 1940년에는 명문 고등 교육 기관인 멕시코 대학(El Colegio de México)으로 발전했다.[85]

1936년, 카르데나스는 소련에서 추방된 혁명가 레온 트로츠키의 멕시코 망명을 허용했다. 이는 카르데나스가 스탈린주의자라는 비판에 대한 반박이기도 했다.[86] 트로츠키는 카르데나스 정부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정직한 정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카르데나스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지만, 쿠바, 칠레, 콜롬비아, 페루 등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유대 강화에도 힘썼다. 특히 문화 교류를 통해 관계를 증진하고자 예술가, 엔지니어, 운동선수 등을 파견했다. 그러나 카르데나스의 급진적인 농업 개혁, 교육 정책, 경제 민족주의 정책을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따라 하지는 않았다.[87][88]

대통령 퇴임 후 국방장관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미국과의 동맹 강화에 기여했다.[132][133]

4. 3. 5. 1940년 대선과 퇴임

1940년 선거에서 라사로 카르데나스는 자신의 좌파 정책에 반대하는 세력의 반발이나 "공화국 전역의 완전한 반혁명" 가능성을 우려했다.[94] 이러한 우려 때문에 그는 멕시코 혁명당(PRM)의 후보로 온건 보수주의자인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95][96] 이는 카르데나스의 이념적 계승자로 여겨졌던 프란시스코 무히카 대신 내려진 선택이었다. 무히카는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17년 헌법에 노동자 권리를 보장하는 조항을 포함시킨 좌파 지도자였다.[97] 그는 카르데나스와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였고, 카르데나스 내각에서 국민경제부 장관과 교통·공공사업부 장관을 역임하며 "카르데니스모의 사회적 양심"으로 평가받았다.[98] 무히카는 1940년 대선 출마를 위해 내각에서 사임했었다.[99]

후안 안드레우 알마산(Juan Andreu Almazán), 혁명가이자 대통령 후보


멕시코 혁명당(PRM)의 규정상 후보 선출을 위한 공개 대회가 필요했지만, 당시 정치 시스템은 후보 간 공개 경쟁을 허용하지 않았다. 카르데나스는 대통령이 자신의 후계자를 직접 선택하는 불문율을 확립했다.[100] 그는 무히카보다 훨씬 중도적인 인물로, 정치적으로 덜 알려진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를 공식 후보로 선택했다. 아빌라 카마초는 "지도자라기보다는 화해자"로 알려졌으며, 나중에는 "무명의 병사"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101] 무히카는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출마를 포기했다.[99] 카르데나스는 아빌라 카마초가 자신의 진보 정책 일부를 유지하면서[95] 보수 진영 후보인 장군 후안 안드레우 알마산에 맞설 타협적인 후보가 되기를 기대했을 수 있다. 카르데나스는 멕시코 노동자 연맹(CTM)과 전국 농민 연맹(CNC) 지도자들에게 그들의 이익이 존중될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보장하며 아빌라 카마초에 대한 지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102] 카르데나스의 지지자들은 새 정부에서도 일정 부분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아빌라 카마초는 카르데니스타들을 "멕시코 노동자와 좌파 이데올로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처를 이끌도록" 임명했다.[103]

선거 운동과 실제 선거 과정은 폭력으로 얼룩졌다.[104] 선거 당일, 반대파는 여러 투표소를 장악하고 각자 자신들의 "선거 결과"를 발표했다. 카르데나스 자신조차 알마산 지지자들의 투표를 막기 위해 투표소가 일찍 문을 닫는 바람에 투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105] 정부가 선거 과정을 통제했기 때문에, 공식 결과는 아빌라 카마초의 승리를 선언했다. 이에 알마산은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반란을 위협했고,[106] 별도의 정부와 의회를 세우려 시도했다. 하지만 아빌라 카마초는 알마산의 세력을 성공적으로 진압했으며,[107] 1940년 12월 1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07][108] 그의 취임식에는 당시 미국 부통령 당선자였던 헨리 A. 월러스가 참석했는데,[107][108] 이는 미국이 선거 결과의 정당성을 인정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특별 대표로서 특명전권대사의 지위를 가진" 파견이었다.[107] 알마산 역시 아빌라 카마초의 취임식에 참석했다.[109]

많은 멕시코인들은 카르데나스가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처럼 퇴임 후에도 막후에서 권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아빌라 카마초가 유럽의 분쟁과 국내 혼란 속에서 강력한 지도력을 발휘할 인물로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110] 그러나 카르데나스는 이러한 예상을 깨고 대통령직과 권력을 후계자에게 완전히 넘겨주는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5. 퇴임 이후

혁명 기념탑. 카르데나스는 혁명 지도자들과 함께 이곳에 묻혔다.


1940년 12월 1일 대통령 임기를 마친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국방장관(전쟁장관)을 역임했다. 이는 미국과의 긴밀한 동맹을 우려하는 멕시코 민족주의자들을 안심시키는 역할을 했다.[111][112][132][133]

그는 제도혁명당(PRI) 출신 대통령 중 유일하게 직위를 이용해 사적인 부를 축적하지 않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퇴임 후에는 고향 미초아칸주의 파츠쿠아로 호 근처 소박한 집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 그는 관개 사업을 감독하고, 전국 빈민들을 위한 무료 진료소 운영과 교육 증진에 힘썼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를 비롯한 국제 사회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으며, 베트남 전쟁의 전쟁 범죄를 조사하기 위한 러셀 재판에도 참여했다.[113]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처럼 퇴임 후에도 막후 실세로 군림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제도혁명당(PRI)과 멕시코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46년 미구엘 알레만 발데스의 대통령 후보 지명에 반대했고, 베트남 전쟁에도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1959년 쿠바 혁명을 지지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쿠바를 방문하여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대중 집회에 참석하기도 했다.[114][112] 1951년, 임기 만료를 앞둔 알레만 발데스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멕시코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카르데나스는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와 함께 이를 저지했다. 이들은 전 대통령 아벨라르도 로드리게스를 통해 "대통령 임기 연장이나 재선은 국가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성명을 발표하게 함으로써 알레만의 재선 시도를 무산시키고, 1954년 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에게 평화적으로 정권이 이양되도록 기여했다.[115]

카르데나스는 미구엘 알레만 발데스(1946-1952) 이후 멕시코 정부가 점차 우경화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1958-1964) 대통령 시기에는 다시 정치적 목소리를 내며 로페스 마테오스 정부가 더 진보적인 정책을 펴도록 압박했다. 특히 1959년 쿠바 혁명의 성공에 고무되어, 멕시코 혁명의 이상이 퇴색되고 있던 자국 상황을 개선하고자 했다. 그는 쿠바 방문 이후 토지 개혁, 농업 지원, 교육 및 보건 서비스 확대를 통해 멕시코 혁명 정신을 되살리려 노력했다. 또한 로페스 마테오스에게 투옥된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석방을 직접 요구하기도 했다. 이러한 카르데나스의 비판적 행보에 로페스 마테오스는 점차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며 "공산주의자들이 당신 주변에 위험한 그물을 치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116] 카르데나스의 압력은 효과가 있어, 로페스 마테오스 정부는 카르데나스 시대 정책과 유사한 토지, 교육, 사회 프로그램을 일부 도입했다. 이후 카르데나스는 제도혁명당(PRI) 정책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을 자제하고, 1964년 대선에서는 로페스 마테오스의 내무장관이었던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를 지지했으며[117] 그의 취임식에도 참석했다.[118]

1968년 멕시코 운동 당시 소칼로 광장에 있는 전차들


그러나 1968년 196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정부가 학생 시위를 강경하게 진압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그해 여름부터 가을까지 이어진 대규모 학생 시위, 즉 1968년 멕시코 운동은 10월 2일 틀라텔롤코 학살이라는 비극으로 막을 내렸다. 당시 카르데나스의 오랜 친구이자 국립자치대학교 교수였던 에르베르토 카스티요는 시위에 적극 참여하다가 정부의 탄압을 피해 멕시코시티 폴란코 지역 자택에서 카르데나스와 만나기도 했다. 카르데나스는 시위가 정치적 안정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면서도, 정부가 대학 자율성을 침해하며 군 병력까지 투입하리라고는 예상치 못했다.[119] 10월 2일 정부군이 틀라텔롤코 광장에서 시위대에 발포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카르데나스 역시 깊은 슬픔에 잠겼다고 전해진다. 그의 아내 아말리아 솔로르사노는 당시 카르데나스도 눈물을 흘렸다고 회고했다.[120]

국제 평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1955년 스탈린 평화상을 수상했다.

카르데나스는 1970년 10월 19일 멕시코시티에서 75세를 일기로 폐암으로 사망했다.[8] 그의 유해는 멕시코 혁명의 지도자들인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판초 비야,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와 함께 멕시코시티의 혁명 기념탑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들 쿠아우테목 카르데나스와 손자 라사로 카르데나스 바텔 역시 멕시코의 주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6. 유산과 평가

카르데나스는 멕시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대통령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4]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단행된 정책들은 멕시코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멕시코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카르데나스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전면적이고, 신속하며, 어떤 면에서는 혁신적인" 토지 개혁이다.[28] 1917년 헌법 제27조에 근거하여 대규모 상업용 아시엔다(hacienda)의 토지 약 180000km2를 수용하여 농민들에게 재분배했으며,[29] 농업 공동체인 에히도(ejido)를 설립했다.[28] 이 개혁은 라구나(La Laguna)의 면화 지대, 유카탄의 헤네켄(henequen) 농장,[30] 바하칼리포르니아, 소노라, 그의 고향인 미초아칸, 치아파스 등 전국적으로 이루어졌고,[28] 농민들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 되었다. 토지 개혁을 지지했던 안드레스 몰리나 엔리케스(Andrés Molina Enríquez)는 카르데나스의 정책을 "영광스러운 운동"이라 칭하며 지지했다.[32]

카르데나스는 농민 조직화에도 힘써 1938년 코페데라시온 나시오날 캄페시나(Confederación Nacional Campesina, CNC)를 설립하여 농민들을 당의 공식적인 지지 세력으로 편입시켰다.[33] 그는 조직된 농민들이 기존 지주 엘리트에 맞설 정치적 힘이 되고 국가의 중요한 투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34] 또한 약 6만 명 규모의 농촌 민병대를 창설하여 토지 개혁을 강제하고 지역 카우딜로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며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했다.[38] 그러나 CNC 설립과 민병대 창설은 농민 조직의 자율성을 제한하고 국가 통제 하에 두려는 의도였다는 비판도 존재한다.[34][35][36][37] 토지 개혁 과정 역시 농민들의 자발적인 요구와 동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39] 궁극적으로는 국가 주도하에 이루어졌으며 농민들은 독립적인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기 어려웠다.[40]

카르데나스는 노동 운동에 대해서도 통합과 통제를 병행하는 정책을 펼쳤으며,[123] 농촌 교육에도 많은 자원을 투입했다.[123] 또한 1937년 철도 국유화, 1938년 석유 산업 국유화를 단행하여 페멕스(PEMEX)를 설립했다. 특히 석유 국유화는 미국 등 외국 자본의 격렬한 반발을 샀지만, 멕시코 국민들의 민족주의적 자긍심을 고취하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외교적으로는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 정부를 지원하고 패배 후 약 1만 명의 망명자를 받아들였으며,[123] 소련에서 추방된 레프 트로츠키에게도 망명을 허용했다.[123] 이러한 스페인 망명자들은 멕시코의 문화와 지성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23]

카르데나스는 자신이 창당한 멕시코 혁명당(Partido de la Revolución Mexicana, PRM)을 통해 농민, 노동자 등 각계각층을 포괄하는 정치 체제를 구축했다. 이 당은 이후 제도혁명당(Partido Revolucionario Institucional, PRI)으로 개편되어 2000년까지 멕시코 정치를 장기간 지배하게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124] 그는 1940년 온건파인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평화적으로 권력을 이양함으로써,[124] 혁명 이후 불안정했던 멕시코 정치의 제도화를 완성하는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124]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미초아칸주 라사로 카르데나스, 킨타나로오주 라사로 카르데나스, 할리스코주 라사로 카르데나스 등 여러 도시와 지역 사회,[121] 나사스강의 라사로 카르데나스 댐[121], 멕시코시티의 '에헤 센트랄 라사로 카르데나스' 거리, 과달라하라, 몬테레이, 멕시칼리의 고속도로 등 수많은 거리와 시설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121] 세르비아 벨그라드의 '셰탈리셰 라자로 카르데나사'(Lázaro Cárdenas promenade, 라사로 카르데나스 산책로),[121]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거리,[121] 스페인 내전 후 스페인 공화당원들을 수용한 그의 역할을 기리는 마드리드의 기념비,[121] 미국 시카고의 라사로 카르데나스 K-8 학교 등 해외에서도 그를 기념하는 장소가 있다. 1992년 발행된 멕시코 10 신페소 지폐에도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멕시코시티 지하철의 라사로 카르데나스 역 역시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122]

1955년에는 소련의 스탈린 평화상(이후 탈스탈린화 과정에서 레닌 평화상으로 개칭)을 수상하기도 했다.

카르데나스는 좌익 멕시코 민족주의자로 평가받으며,[123] 가톨릭 교회와의 큰 충돌 없이 개혁을 추진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123] 그러나 그의 급진적인 정책은 보수 세력과 외국 자본의 반발을 샀으며, 농민과 노동 운동을 국가 통제 하에 두려 했던 방식은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도 받는다. 카르데나스 자신도 1969년 "정치 유언장"에서 자신의 정권이 정치 권력 분배와 부패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으며, 소수가 다수의 희생 위에서 부를 축적하는 현실에 대한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125]

퇴임 후에도 30년간 멕시코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역사가 엔리케 크라우제는 그를 "아이콘, 일종의 도덕적 최고 지도자(헤페 막시모), 유일하게 살아있는 진정한 멕시코 혁명가, 혁명의 도덕적 양심"이라고 평가했다.[126] 또 다른 학자는 카르데나스를 "수수께끼 같은 대통령"이라 칭하며, 그의 비폭력적인 갈등 해결 방식과 대중적 인기를 높이 평가했다.[127] 그는 멕시코 좌파의 상징적인 인물로 남아 있으며, 그의 아들과 손자 역시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7. 가족

아들인 쿠아우테목 카르데나스 역시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미초아칸 주지사를 지낸 후, 당시 집권당이던 제도혁명당을 나와 중도좌파 성향의 멕시코 혁명민주당(PRD)을 창당했다. PRD의 당수로서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에 도전했으며, 수도 멕시코시티 시장으로 선출되어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재임했다. 쿠아우테목의 아들이자 라사로의 손자인 라사로 카르데나스 바텔도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El minimato presidencial: historia política del maximato (1928-1935) https://www.worldcat[...] Ediciones Era
[2] 웹사이트 A 82 años de la expropiación petrolera en México http://ru.iiec.unam.[...] 2020-03-12
[3] 서적 Lázaro Cárdenas Charles Scribner's Sons
[4] 뉴스 Lázaro Cárdenas, el presidente del pueblo http://www.jornada.c[...]
[5] 웹사이트 Quién fue Lázaro Cárdenas y cuáles fueron sus aportaciones https://culturacolec[...] 2018-05-19
[6] 웹사이트 Lázaro Cárdenas, el presidente más popular que ha tenido México http://www.sinaloado[...]
[7]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8] 뉴스 Lázaro Cárdenas, 75, Dies In Mexico https://www.nytimes.[...] 1970-10-20
[9]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0]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1]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2] 서적 The Course of Mexican History
[13] 서적 Creating Pátzcuaro, Creating Mexico: Art, Tourism and Nation Building Under Lázaro Cárdenas University of Texas Press
[14] 논문 "'Eréndira a caballo': Acoplamamiento de Cuerpos e historias en un relato de conquista y resistencia."
[15] 서적 Creating Pátzcuaro, Creating Mexico
[16]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17] 웹사이트 Mr. Clean: the phenomenon of Lázaro Cárdenas (1895–1970) : Mexico History http://www.mexconnec[...] Mexconnect.com
[18]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19]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20]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21] 서적 Elections in the Americas: a data handbook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23] 서적 Mexican Militarism: The Political Rise and Fall of the Revolutionary Army, 1910-1940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4] 잡지 Religion: Where Is He? http://www.time.com/[...] 1938-12-26
[25] 서적 Jesuit Student Groups, the Universidad Iberoamericana, & Political Resistance in Mexico, 1913–1979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6] 서적 Jesuit Student Groups
[27] 서적 The Course of Mex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3-12
[28] 서적 Cardenismo
[29] 웹사이트 Faces of the Revolution: "Lazaro Cardenas" https://www.pbs.org/[...] PBS
[30] 서적 Reports of Its Demise Are Not Exaggerated: The Life and Times of Yucatecan Henequen Duke University Press
[31] 서적 Andrés Molina Enríquez: Mexican Land Reformer of the Revolutionary Era University of Arizona Press
[32] 서적 Andrés Molina Enríquez
[33] 서적 Confederación Nacional Campesina (CNC) Fitzroy and Dearborn
[34] 서적 Confederación Nacional Campesina (CNC)
[35] 서적 Historia de la cuestión agraria mexicana, vol. 5: El Cardenismo: un parteaguas histórico en el proceso agrario, 1934–1940 Siglo XXI-Centro de Estudios Históricos del Agrarismo en México
[36] 서적 La Confederación Nacional Campesina en la reforma agraria mexicana Centro de Estudios Económicos y Social del Tercer Mundo-Nuevo Imagen 1984
[37] 서적 The Mexican Revolution and the Limits of Agrarian Reform, 1915-1946 Lynne Rienner Publishers 1993
[38] 서적 The Mexican Revolution
[39] 서적 Cardenismo
[40] 서적 The Mexican Revolution
[41] 서적 Cardenismo
[42] 서적 Luis Napoleón Morones Fitzroy and Dearborn 1997
[43] 간행물 The I.L.O YEAR-BOOK 1936-37 https://www.ilo.org/[...]
[44] 간행물 The I.L.O YEAR-BOOK 1938-39 https://www.ilo.org/[...]
[45] 간행물 The I.L.O YEAR-BOOK 1939-40 https://www.ilo.org/[...]
[46] 서적 Indian and Nation in Revolutionary Mexico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4
[47] 서적 Moisés Sáenz Fitzroy and Dearborn 1997
[48] 서적 Seis Años de Gobierno al Servicio de México, 1934–40 La Nacional Impresora, S.A. 1940
[49] 서적 Seis Años
[50] 서적 Seis Años
[51] 서적 Seis Años
[52] 서적 Seis Años
[53] 서적 Seis Años
[54] 서적 Seis Años
[55] 서적 Seis Años
[56] 웹사이트 Memoria Política de México https://web.archive.[...] 2015-03-02
[57] 서적 Women, Feminism, and Social Change in Argentina, Chile, and Urugua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5
[58] 서적 Revolutionary Women in Postrevolutionary Mexico Duke University Press 2005
[59] 서적 Woman Suffrage in Mexico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62
[60] 서적 Revolutionary Women in Postrevolutionary Mexico
[61] 논문 The Role of Women in the Mexican Cristero Rebellion: Las Señoras y Las Religiosas 1984-01
[62] 서적 Woman Suffrage in Mexico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62
[63] 뉴스 El año en el que México legalizó (brevemente) las drogas https://www.bbc.com/[...] 2023-02-16
[64] 웹사이트 El psiquiatra que luchó contra los cuerdos para despenalizar las drogas https://chacruna-la.[...] 2022-12-19
[65] 서적 LA ALTERNATIVA MEXICANA AL MARCO INTERNACIONAL DE PROHIBICIÓN DE DROGAS DURANTE EL CARDENISMO; TESIS PARA OBTENER EL TÍTULO DE LICENCIADA EN RELACIONES INTERNACIONALES (DIRECTOR: DR. LORENZO MEYER COSÍO) https://toxicomania.[...] Colegio de Mexico CENTRO DE ESTUDIOS INTERNACIONALES 2013
[66] 웹사이트 The time when drugs were legal in Mexico https://www.eluniver[...] 2023-02-03
[67] 뉴스 El año en el que México legalizó (brevemente) las drogas https://www.bbc.com/[...] 2023-02-16
[68] 논문 Estados Unidos frente a la promulgación y suspensión en México del Reglamento de Toxicomanías de 1940 https://forointernac[...] 2021-06-29
[69] 서적 Mexico, 1940–1960: Revolution to 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70] 서적 Presidentialism and Democracy in Latin America 1997
[7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Mexico 2000
[72] 간행물 XVII Jornadas de Historia de Occidente Lázaro Cárdenas en las regiones 1996
[73] 논문 The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1963-01
[74] 논문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75] 서적 Mexican Militarism: The Political Rise and fall of the Revolutionary Army, 1919–1940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68
[76] 서적 Mexican Militarism
[77] 서적 Mexico, 1940–1960: Revolution to Evolution
[78] 논문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79]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80] 논문 The Empire Struck Back: Sanctions and Compensation in the Mexican Oil Expropriation of 1938 https://www.cambridg[...] 2011
[81] 서적 #추정 1996
[82] 서적 Casa de España Fitzroy and Dearborn 1997
[83] 서적 Casa de España
[84] 서적 Los españoles en México: población, cultura y sociedad Fondo de Cultura Económica 1989
[85] 서적 Casa de España
[86] 서적 Inside Latin America 1941
[87] 서적 Mexico's Relations with Latin America During the Cárdenas Era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16
[88] 논문 Review of ''Mexico's Relations with Latin America during the Cárdenas Era'' 2017-12
[89] 논문 Nacional Financiera durante la industrialización vía sustitución de importaciones en México 2012
[90] 웹사이트 Mexico – Cardenismo and the Revolution Rekindled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1-10-15
[91] 서적 Saturnino Cedillo Fitzroy and Dearborn 1997
[92] 서적 Saturnino Cedillo
[93] 서적 Lázaro Cárdenas Charles Scribner's Sons 1994
[94]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Harvard University Press 1961
[95] 잡지 MEXICO: Cárdenas & Almazán Out http://www.time.com/[...] 1940-11-25
[96] 웹사이트 Manuel Ávila Camacho – History.com Articles, Video, Pictures and Facts http://www.history.c[...] History.com
[97]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98] 서적 Francisco Múgica Fitzroy and Dearborn 1997
[99] 서적 Francisco Múgica
[100] 논문 The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101]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102] 논문 The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103] 서적 The War Has Brought Peace to Mexico World War II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Post-Revolutionary State 2014
[104] 서적 Covering the Mexican Fron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42
[105] 논문 The Political Legacy of Lázaro Cárdenas
[106] 서적 Juan Andreu Almazán Fitzroy and Dearborn 1997
[107] 잡지 MEXICO: Cárdenas & Almazán Out http://www.time.com/[...] 1940-11-25
[108] 논문 2012
[109] 서적 Juan Andreu Almazán
[110] 서적 United States and Mexico
[111] 서적 Lázaro Cárdenas Fitzroy and Dearborn 1997
[112] 서적 Lázaro Cárdenas
[113] 서적 Lázaro Cárdenas
[114] 웹사이트 After the Revolution: Lázaro Cárdenas and the Movimiento de Liberación Nacional https://nsarchive2.g[...] National Security Archive 2004-05-31
[115] 서적 Medios de comunicación: del destrape a las campañas electorale, 1934-1982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2006
[116]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17]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18] 뉴스 Díaz Is Sworn In As Mexico's Head https://www.nytimes.[...] 1964-12-02
[119] 서적 Opening Mexico: The Making of a Democracy Farrar, Straus and Giroux 2004
[120] 서적 Opening Mexico: The Making of a Democracy
[121] 서적 Watering the Revolution: An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History of Agrarian Reform in Mexico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
[122] 웹사이트 Lázaro Cárdenas https://metro.cdmx.g[...]
[123] 서적 The Course of Mex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24] 서적 Lázaro Cárdenas Conaculta 2014
[125] 웹사이트 El testamento político de Cárdenas https://www.revistad[...]
[126] 서적 Mexico: Biography of Power
[127] 서적 La vida en México en el periodo presidencial de Lázaro Cárdenas Empresas Editoriales 1964
[128] 뉴스 Lázaro Cárdenas, el presidente del pueblo http://www.jornada.c[...]
[129] 웹사이트 Quién fue Lázaro Cárdenas y cuáles fueron sus aportaciones https://culturacolec[...] 2018-05-19
[130] 웹사이트 Lázaro Cárdenas, el presidente más popular que ha tenido México http://www.sinaloado[...]
[131] 서적 Lázaro Cárdenas Charles Scribner's Sons 1996
[132] 서적 Lázaro Cárdenas Fitzroy and Dearborn 1997
[133] 서적 Lázaro Cárdenas
[134] 서적 Lázaro Cárdenas del Río y la Revolucion Mexicana : II. Elcaudilismo Fondo de Cultural Economica 1977
[13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